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데이터2

프로세스 메모리 구조(힙, 스택, 데이터, 코드)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운영체제(OS)가 프로그램의 정보를 메모리에 로드해야 합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CPU가 코드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메모리가 명령어와 데이터들을 저장해야 합니다. 메모리 공간프로그램이 운영체제(OS)로부터 할당받는 대표적인 메모리 공간은 코드(code) 영역, 데이터(data) 영역, 힙(heap) 영역, 스택(stack)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코드(code) 영역코드 영역은 실행할 프로그램의 코드가 저장되는 영역입니다.  텍스트 영역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CPU는 코드 영역에 저장된 명령을 하나씩 가져가서 처리하게 됩니다.  프로그램이 시작하고 종료될 때까지 메모리에 계속 남아 있습니다. 데이터(data) 영역데이터 영역은 프로그램의 전역 변수와 정적(st.. 2024. 7. 30.
[MSSQL] SQL-Server 데이터 타입 총정리 1. 숫자 데이터 타입 정수형: TINYINT: 0에서 255까지의 정수를 저장. 1바이트 공간 사용. SMALLINT: -32,768에서 32,767까지의 정수를 저장. 2바이트 공간 사용. INT: -2,147,483,648에서 2,147,483,647까지의 정수를 저장. 4바이트 공간 사용. BIGINT: -9,223,372,036,854,775,808에서 9,223,372,036,854,775,807까지의 정수를 저장. 8바이트 공간 사용. 부동 소수점: FLOAT([n]): 대략 -1.79E+308에서 1.79E+308까지의 범위를 갖는 부동 소수점 숫자를 저장. n은 1에서 53까지 지정할 수 있으며, 저장 공간은 n에 따라 달라짐. REAL: FLOAT(24)와 동일. 대략 -3.40E+38.. 2023. 11.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