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Computer Science/네트워크2

HTTPS, SSL, TLS, CA 개념 간단 정리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HTTP 통신에서 보안을 강화한 보안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다. HTTPS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보안성을 강화하고 데이터의 기밀성, 무결성, 인증을 보장한다. HTTPS는 기본적으로 HTTP 프로토콜 위에 SSL(Secure Sockets Layer) 또는 TLS(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암호화된 연결을 수립하고,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이 안전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HTTPS의 주요 특징 암호화된 연결 HTTP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제3자가 데이터를 엿볼 수 없도록 보호한다. SSL/TL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 2023. 6. 28.
사진 전송의 과정으로 보는 Base64, Segment, Packet, Fragment 서론 사진을 데이터로 전송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가정해보자. 사진을 전송하려고 할 때, 색의 3원소인 RGB로 이미지를 전송한다고 하면, RGB 각각 8bit씩 총 24bit + 좌표 데이터(x: 8bit, y: 8bit) ⇒ 최소 40bit가 필요하다. 만약 200X200 픽셀에 사진을 다 채운다고 하면 40bit * 40000 ⇒ 1.6mbytes의 용량이 나온다. 만약 영상을 보낸다고 치면, 1초에 24장의 사진이 필요하므로 1.6 * 24 = 38.4mb의 용량이 필요하다. 그렇게 되면 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므로, 용량을 줄이기 위한 인코딩(압축)이 필요하다. 내 컴퓨터에서 상대방의 컴퓨터로 사진 전송을 한다고 치자. 이러한 Layer가 존재하는데, Application 영역 1번 영역 App.. 2023. 2.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