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kills/Html

4장. 부모자식과 문서의 구조

by Homil-Rye 2022. 1. 27.
728x90
반응형

HTML코드, 매우 복잡해보이는 형태이다.

 

부모자식과 목록

 

이번 포스팅에서는 부모자식과 목록에 대해서 배운다.

 

부모 자식은 HTML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parent>
  <child></child>
</parent>

 

의 형태를 띤다.

 

예를 들어, 


<li>는 목록을 나타내는 태그이며

<li>태그의 부모는 <ul>이다.

즉, <li>태그는 반드시 부모인 <ul>을, <ul>태그는 반드시 자식인 <li>를 가진다.

 



*<ol>태그를 쓰면 숫자가 자동적으로 넘버링된다

여기서

unordered list = ul
ordered list = ol
을 의미한다.


* 추가적으로 <table>은 표를 나타내는 태그이며
<tr>태그 , <td> 태그의 3대의 관계를 가진다.

 



문서의 구조와 슈퍼스타들

 

정보가 많아짐에 따라서 우리는 정보를 잘 정리하기 위한 체계와 구조가 필요하다.


[1]

첫 번째로 <title>은 웹페이지의 제목을 나타내는 태그이며,
사용자에게 제목을 명시하고, 검색엔진이 책 표지와 같은 정보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2]

두 번째는 utf-8이다.

 

모두 알다시피, 컴퓨터는 모든 정보를 0, 1로 저장한다.

 

그리고 0,1을 어떻게 저장할 것인가에 대한 여러 가지 약속이 존재하고


utf-8은 그 약속 중의 하나이다.

<meta charset="uft-8">를 넣으면
브라우저는 비로소 한국어 문자를 인식한다.

그 뜻은 utf-8로 문서를 읽어라, 라고 브라우저에게 얘기를 해준 것과 같다. 

 

[3]
그리고 <title>, <meta charset="uft-8">은
본문을 설명하는 태그, 즉 <head> 태그로 묶는다.

 

[4]
그리고 그 본문은 <body>라는 태그로 묶는다. 

 

[5]
결과적으로, html의 모든 태그는 <head>, <body> 둘 중 하나 아래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html> 태그는 <head>, <body> 이 모든 것을 감싸는 태그이다.

 

[6]
그리고 마지막으로 <html> 태그 위에 관용적으로 <!doctype html>를 써서

 

이 문서는 html이다, 라는 뜻을 준다.

 


 

즉, HTML 문서의 구조를 정리하자면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ft-8">
            <title></title>
        </head>
        <body>
        </body>
    </html>

 

로 나타낼 수 있다.

728x90
반응형